때는 2012년 7월 말 어느 날. 한자 급수를 따기로 마음먹고 공부를 시작한 te verde는 작심 1.5일 만에 블로그 포스팅을 빌미로 공부를 미뤄버리고 만다.

이상하게 스토리 없는 공부는 도저히 머릿속에 들어오지가 않더라구요'

...... 그건 그냥 니가 공부에 재능이 없는 거야...

    이렇게 더운 날에는 대학교 도서관으로 잠입, 아무도 찾지 않는 외딴 서가에 처박혀서 시원한 에어컨 바람을 맞으며 소파에서 늘어지게 잠을 자야 하거늘, 현실은 누적피로와 노동으로 멘탈이 삐그댁 대고 있는 나님.  거기에 ‘서울의 5궁사(史)’ 를 쓰던 도중, 너무 거대한 녀석을 잘못 건드렸다는 생각에 -이제 겨우 1600년대 초반까지 함-  시달리고 있다. 그러다 문득,  알비노 호랑이, 메코 등 다른 필진을 본받아 ‘다른 주제의 오프닝 편을 써서' 이번 위기를 극복하겠다고 po결심wer


    그러고 기껏 생각한 주제가 바로 신도시 도시계획~ 시행안. 근데 이것도 '서울의 5궁'과 스케일 측면에서는 결코 뒤지지 않는 판도라의 상자라는 점이 떠올라서 포기했다. 나란 남자 포기가 빠른 남자.


 그래서 결국 각 대학의 도서관 으로 하려고요 ㅇㅇ...   

 ‘근데 얘도 스케일이 큰 거 같아....’  아무튼 시작하겠습니다.

1. 요즘 대학의 도서관

    대학의 도서관 하면 뭐가 떠오르십니까. 뭐...  안경 쓴 지적인 이미지의 훈남 이라든가, 야구모자를 눌러쓰고 얼굴을 가리고 있지만 반팔티 너머로 보이는 근육이 훌륭한 복학생 근로 알바 훈남 이라든가, 열람실에서 공부를 빙자한 수면을 즐기다가 음료수 뽑아먹으러 나갔는데 자판기 앞에서 음료수를 건네주는 낯선 얼굴의 훈남 …  자꾸 기승전남 (모든 대화의 결론이 남자로 끝나는 화법)이 되는군요. 아 아닙니다. 

    아무튼 제대로 된 대학이라면 다들 도서관을 가지고 있습니다. 제대로 안된 대학이라 하더라도 도서관은 있어야죠. 없으면 대학 간판을 내리던가(...) 

    예전에는 도서관이라고 하면  ‘열람실' ‘서가' ‘서적분류시스템' 정도로 구성요소를  전부 설명했다고  할 수 있었습니다만, 현대의 훌륭한 도서관은 다릅니다. 각종 미디어 자료를 열람, 분석할 수 있는 공간이 요구되고, 웹에서 문헌을 찾아서 받아볼 수 있도록 전자기기들이 구비된 공간도 있어야 합니다. 그룹스터디 공간과 제대로 된 휴식공간 또한 좋은 도서관의 필수 요소이며,  학생들의 정보 접근성을 보장하는 온라인 시스템, 풍부한 E-Book 또한 있어야겠지요.

    즉, 예전엔 도서관의 장서 수로 그 수준을 가늠했지만, 이제는 누가 더 좋은 ‘사용 편리성'을 갖추느냐에 의해 그 도서관의 수준이 결정되는 것입니다. 인터넷 세상이라서 자료야 차고 넘치니까요. 원격으로 국회도서관 자료도 열람이 가능한 시대니.


자, 그러면 여기서 문제. 저런 시설들을 다 갖추려면 제일 중요한 것이 뭘까요? 

1. 꿈

2. 의지

3. 돈

4. 남자 (...)

네, 당연히 4번 아니 3번입니다 3번. 그것도 예전보다 훨씬 많이. 진짜 많이. 더더욱 많이 ㄱ-

2. 결국엔 돈이로소이다.

 그래요. 또 돈이에요. 연세대 이야기 할때 나왔던(건축에 관한 무언가1. 연세대 신경영관 편) 돈이요. 돈돈돈... 아우 지긋지긋해... 돈이 필요하단게 사실인지 확인해 볼까요. 아래의 표는 근 몇 년간 여러 대학들이 중앙도서관을 신축, 증축하면서 들인 공사비를 나타낸 표입니다.


 학교

명칭 

개관년도 

공사비 

 인하대

정석학술정보관 

2003년 

470억 

고려대 

백주년기념삼성관 

2005년 

650억 

연세대

연세-삼성학술정보관 

2008년 

620억 

 성균관대(이공계)

삼성학술정보관 

2009년

550억

 명지대

방목학술정보관 

2010년 

460억 

 중앙대

중앙도서관(리모델링) 

2010년 

150억

 서울대

신 중앙도서관 

모금중 

600억/1000억 

역시 한 두푼 드는 일이 아니라능...

인하대 정석학술정보관

 

고려대 백주년기념삼성관

연세대 연세-삼성학술정보관

성균관대 삼성학술정보관

명지대 방목학술정보관

 

중앙대 중앙도서관

    대부분 서고 + 열람실 역할을 하는 기존의 중앙도서관은 유지하는 채로 신규 공간에 정보화기기 이용 시설 + 학습공간을 만드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규모 또한 어마어마한 수준이지요.  대학별 자존심 경쟁, 실질적 학습공간 필요 등이 신축 도서관의 크기를 거대하게 만들어내는 요소로 볼 수 있습니다. 위의 건물들을 하나하나 다 지져보긴 너무 귀찮고... 연세대, 중앙대, 서울대 중앙도서관에 관한 이야기만 하고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 인하대, 고려대 등도 인연이 닿으면 하겠지요 (...)

2-1 연세대 연세-삼성학술정보관

    당연히 원래 이름으로 거창하게 부르는 사람들은 없습니다. 신중도라는 이름으로 부르지요. 국내 최초의 유비쿼터스 도서관을 지향하여 어쩌구 저쩌구... 합니다만. 요점은 학습공간(열람실) + 휴식공간 + 영상 시청기기 + 컴퓨터이용공간 이 있다는 것 입니다. 부가적으로 국제회의시설정도..? 신중도가 지어지기 전까지 연세대는 만성적인 학습공간 부족에 시달리고 있었지요.  2만 명이 넘는 연대생들에게 주어지는 학습공간이 3천석 남짓했으니까요. 신중도 건설 덕분에 한 큐에 3천 석이 늘어서 지금은 6천명을 수용할 수 있습니다.

    연세대 신중도는 원래 2006년 기공 당시 300억의 예산을 가지고 출발했습니다.

그러나


    아시죠? 2006년-2007년 건설광풍. 건설경기과잉으로 원자재가격 po폭등wer + 각종 IT기술을 추가추가추가추가... [각주:1]  결국 공사비가 600억원에 육박하게 됩니다. 

<ㅈ됨>

    그래서 연세대는 기업들에게 이리저리 기웃대기 시작합니다. 그때 눈에 들어온 것이 바로 샘숭. 쁘띠거니 회장님은 고려대에 650억을 지원하여 백주년 기념관을 지어주고선 고대측의 융숭한 대접을 받았습니다. 덕분에 기분이 한껏 좋아진 상태,[각주:2] 이 기세를 몰아서 이공계 쪽에 수 백억짜리 공학관을 지어주기로 했었습니다... 만 고려대가 이건희 회장에게 명예철학박사를 수여하는 수여식 행사날, 학생들의 시위폭탄을 맞고서는 빈정상해서 유야무야 되었지요.  그래서 원래 고려대에 가게 될 수 백억이 살짝 표류한 상태, 연세대는 삼성에게 거부할 수 없는 제안을 합니다.

<거부할 수 없는 제안을 하지.>


‘그럼 난 어때염? >_<’

    귀찮은 삼성은 ‘ㅇㅇ'라고 대답을 해주고... 결국 수 백억의 절반은 연세대로 가게 됩니다.[각주:3]  아무튼 이렇게 해서 연세대는 신중도를 가지게 되었다는 이야기.

2-2 중앙대 중앙도서관 리모델링

    2008년 두산그룹이 중앙대를 전격 인수합니다. 그리고 매년 수 백억의 돈을 투자하기 시작했지요, 기숙사, 약학관, 중앙도서관 리모델링, 기숙사 건립 등등... 앞으로도 각종 시설에 대한 건축 계획이 있다고 합니다. 자세한 건 중앙대 훌리건을 한 분 찾으셔서 여쭤보심이... 

    아무튼 중앙대의 경우 신축을 하지 않고, 증축을 했습니다.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지요. 1. 당장 효과를 보려면 건축보단 리모델링 해야 건물을 빨리 보여줄 수 있다.  2. 학교부지가 좁아서 신축 중앙도서관을 지을 자리가 애매하다. 3. 신축보다 싸게 먹힌다. 등등. 중대 리모델링의 경우 그룹스터디 공간과 열림살 확충, 휴식공간 확보는 되었지만 전자시설 측면에서는 많이 아쉽습니다. 하지만 주제의 다양성을 위해서 수록했긔.

2-3 서울대 신 중앙도서관

    서울대 중앙도서관은 1974년 관악캠퍼스가 이전되면서 건축되었습니다.  근데 이 건축물들이...  그냥 군인정신으로 쌔리 지은거라 멋대가리가 없어   서울대의 경우 중앙전산원이라고 전자기기들을 모아놓은 공간이 있긴 합니다....만. 그래도 규모가 좀 시망. 열람석의 규모 또한 3천 여 석으로 재학생 1만 3천명의 약 22% 밖에 수용하지 못합니다. 거기다가 국내 대학 최대 장서량 (약 320만 권)을 보관해야 하기 때문에 서고공간이 지나치게 비대, 시설 규모에 비해 학생 학습공간이 부족한 점도 신축 도서관의 필요성을 높이고 있지요.

<신축 중앙도서관 신관 컨셉도>

    그래서 한국 대학도서관 사상 최고액 모금 프로젝트를 실시합니다. 목표 금액은 천 억, 공사규모는 현재 본관 옆 부지에 신관 신축 + 본관 리모델링. 솔직히 말하자면 서울대 측에서도 모금은 2015년 정도까지 모금되면 참 다행이라는 식으로 생각했던 것 같은데요... 대한민국 대학 장학계의 큰 손인 관정 이종환 회장이 600억을 쾌척했습니다. 


‘모금 개시와 동시에 60% 자동 달성 =_=’

    잘은 모르겠지만 서울대 재단 측 담당자는 아마 입이 다물어지지 않았을 듯? 현재도 천 억원을 향해서 모금 중입니다. 이렇게 큰 손이 한 두 번 더 나서면 13년 상반기 중으로 모금이 완료될 듯 하네요.

3. 조잘조잘

    제가 요즘 잠을 못자서 도저히 그를 찰지게 쓸 수가 없ㅋ엉ㅋㅠㅠㅠㅠ 여러분 이런 나를 용서해요... 다음편을 잘 써줄게...


세줄요약

1. 요즘 대학 도서관은 돈지랄이 필요햄

2. 그래서 다들 돈지랄을 햄

3. 서울대가 천 억짜리 돈지랄을 햄


  1. 고려대가 2005년에 삼성의 지원으로 백주년기념관(신중도와 비슷한 기능)을 너무 잘 지어 놓는 바람에 무리수를 뒀다는 이야기도 [본문으로]
  2. 지원을 받게된 근본적 이유는 재단의 주요 인사 중 한 사람이 삼성가의 사위이기 때문이라고... [본문으로]
  3. 절반은 이화여대로 흘러들어 ECC(이화여대 지하캠퍼스)가 되었다고 합니다. ECC의 정식 명칭은 이화-삼성캠퍼스 센터. 완공 단계에서 갑자기 삼성의 기부가 결정되어 의아함이 제기되었다는 뒷 이야기도 [본문으로]
Posted by 알 수 없는 사용자






녕하세요 te verde 입니다.  


저번 포스팅 '건물에 관한 무언가 1. 연세대 신경영관'의 리플에서 영감을 받아 고려대 특집도 구성했습니다. 


Q. '왜 연대는 경영대를 다루고서 고대는 경영대를 안 하나요?'

A. '고대 경영은 너무 순조롭게 새 건물을 짓고 있어서 재미가 없어서요.'


남의 불행은 나의 행복. 아 아닙니다. 아무튼 고려대편을 시작하겠습니다.  

1. 심시티



많은 분들이 EA사의 심시티라는 게임을 아시리라 믿습니다.




< 가운데 섬 모양이 뉴욕 맨해튼과 비슷해 보이는군요 아니면... 과..광진구? >



'내 손으로 만드는 도시' 가 게임의 컨셉이죠, 필자는 어린시절 심시티 3000을 재미나게 했습니다. 물론 심시리즈(심즈, 

심시티) 특유의 '엔딩없는' 특성 때문에 도중에 때려침


화면 가득하게 고층빌딩으로 빽빽하게 채우는 것이 엔딩이라고 할 수도 있겠지만... 그 전에 질려서 그만 하게 되더라구요

ㄱ-




요런 게임도 있었습니다.


버츄얼 서울(1999).  무려 서울시가 직접 예산을 들여 만들어진 게임이죠. 

심시티 짝퉁으로 만든 것 치곤 제법 잘 만들었던 게임입니다. 물론 하지는 않았습니다.

잘 모르겠지만 고려대 관리처장하는 분들은 대대로 심시티 애호가일지도 몰라요.



2. 심시티 고려대



< 고려대 엘지포스코 경영관 >


   고려대는 개교 백 주년인 2005년을 학교 발전의 터닝포인트로 삼기 위해 2000년대 초반부터 적극적으로 기업과 교우들에게 삥을 뜯..아니 기부금을 모금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그 돈으로 열심히 캠퍼스에 심시티질을 했지요.

Q. '대체 고려대가 얼마나 건물을 지어 댔길래 심시티라고 하는거죠?'

A. '10년 동안 4400억원어치요.'

Q. '...아......네'


아래는 2002년부터 2012년까지 고려대 안암캠퍼스의 신축 건물 리스트입니다. 


(리모델링, 증축, 병원용 건물은 제외하고 집계했습니다.)


<피드백을 받아 수정했습니다 : 창의관 금액 기재, 동원 글로벌리더십 센터 준공연도 수정.>

 년도

 준공 건물

2002년

 중앙광장


(지하캠퍼스)

200억 


 

 

 

 

 

2003년

우당교양관

120억 

생명과학관 동관 

200억 

LG-POSCO

 

경영관 

260억 

창의관 

 120억

2004년

타어플라자 

18억 

청산 MK 문학관

40억


 

 

 

2005년

백주년 기념관


(삼성관) 

650억 

CJ 인터네셔널

 

하우스(외인기숙사) 

180억 

 

 

 

 

2006년

화정체육관 

262억 

하나스퀘어


(지하캠퍼스)

300억 

 


 

 

2007년

 해송법학도서관

57억 

동원 글로벌리더십

 

센터  

 60억 

 

 

 

 

2008년

 미래융합기술관


(바텔연구소)

170억 

CJ 식품안전관 

70억 

 

 

 

 

2009년 

보건과학도서관 

60억 

 

 

 

 

 

 

2010년

 운초우선교육관

130억 

 

 

 

 

 

 

2011년 

미디어관 

200억 

프론티어관


(민자기숙사) 

250억 

로봇융합관 

60억 

우정정보통신관 

100억 

 2012년

 

(공사중)

현대자동차


경영관 

440억 

신 의학관 

350억 

성촌 법학관 

120억 

 

 








































< 놀랍게도, 10년 동안 단 한 해도 새 건물이 준공되지 않은 적이 없네요. >


  

   금액으로 따지자면 공사 중인 건물들까지 합쳐서 약 4400억원 입니다,  민자기숙사 250억을 빼도 4100억이네요.


   심시티 심시티 말은 들었지만 정말 심시티 고대ㄱ- 찾아보면서 솔직히 좀 질렸어요.  

건물 개수로만 따져도 24개, 한 번에 천 억짜리로 네 개 지으면 공사비 찾기도 쉬웠을 텐데  ㅠㅠㅠㅠ 나쁜 놈들ㅜ


Q. '저 건물들 리뷰 안해요?'

A. '다음 기회에 천천히 하죠. 저거 24개 전부 한 포스팅에 어떻게 담음?'

Q. 'ㅇㅇ...'


네, 고대 건물들은 나중에 기회가 되면 따로 리뷰를 하겠습니다. 기회가 있을지는 모르겠네요.


3. 다른 대학들은 심시티를 안하나?

 


서울시내 몇몇 대학들을 살펴보고 싶지만...

2002년부터 2012년까지 서울 시내 모든 대학 공사를 어떻게 다 훑어요 이 변태님들아(...) 대충대충 살필게요.


   삼성과 쪼인한 성균관대나, 두산에게 잡아먹*-_-*힌 중앙대는 각 기업들로부터 수 년간 투자 받은 금액이 2천억, 3천억원 대에 이릅니다.저번 시간에 까기는 했지만, 연세대도 모의법정동, 학술정보원-신중도(620억) 신축, 루스채플 증축 등 천 억원대의 시설투자가 있었구요.


   서강대의 경우 350억짜리 곤자가 플라자(지하캠퍼스-민자), 400억짜리 금호아시아나관을 신축 했습니다.  부동산재벌 건국대도 역시 445억 쿨하우스 (민자기숙사). 예술문화관, 상허연구관, 법학도서관 등 천 억이 넘는 신, 증축을 했습니다.


그 외에도 한국외대, 숭실대, 서울대, 이화여대 등 수 많은 서울 시내 대학들이 심시티 놀이를 즐겼죠. 고로, 심시티 놀이는 고려대의 것 만이 아닌, 2000년대 대학 재단 고유의 놀이문화(...)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 홀로 독야청청 4천 억이 넘는 무지막지한 건축비를 자랑하는 고려대는 단연 돋보일 수 밖에 없긴 합니다.




- 부록 : 왜 이렇게 심시티를 많이 할까




대학들이 앞다투어 심시티를 즐기는 이유는 뭘까요? 질 높은 교육을 위한 교육시설의 확충, 새 건물을 통한 이미지 재고 등의 효과들을 누리기 위해서라고 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표면적인 이유뿐 아니라 재단돈벌이 수단으로도 많이 사용되는 것이 건물 신축 입니다. 



흔한 재단의 용돈벌기 3단계


1. 먼저 학교의 교육환경 개선이라는 명목 하에 학교 돈으로 (재단돈이 아닌) 건물을 짓습니다. 


2. 그리고 그 안에 여러가지 상업시설들을 입주시킵니다. 


3. 그런데 그 상업시설에 대한 임대료를 학교수입으로 걷지 않고 재단 수입으로 거둬들입니다.

 

   

이렇게 하면 교시설확충 + 짭짤한 임대수익 이라는 두 가지를 동시에 얻을 수 있지요.


   그러면 '왜 기존 건물에는 잘 입주 안시키고?' 라는 의문이 드실텐데요, 기존 건물에 상업시설을 입주시키는 것은 꽤나 힘든 일입니다. 대학의 여러 기존 건물들은 오랜 시간을 거치면서 관습적인 점유, 또는 여러 학내 단체간의 타협에 의해 공간이 배치된 경우가 많습니다. 때문에 학교측에서 상업시설을 넣으려고 할 경우 학생사회와 마찰을 일으킬 우려가 크지요. '자치공간, 학습공간 축소 반대' 라는 명분으로 반발하는 운동권 학생회라도 있을경우 정말 골치아파집니다.


   그런데 신축건물은 그런 반발에서 상당히 자유로운 편입니다. 물론 그냥 공터였던 곳이여도 학생들의 여러 자치활동이 진행되던 곳이라면 반발이 있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부산대 '넉넉한 터' 케이스[각주:1] 정도의 무리수가 아니면 건물 신축에는 큰 반대 여론이 자리잡는 경우가 드묾니다. 그러니 너도나도 새 건물을 짓는 것이지요.





4. 주절 주절


Q. '이번 포스팅의 목적이 뭐죠?'

A. 



저번 포스팅 때 달린 리플 보고 생각나서 한 거라 목적 따위 없ㅋ슴ㅋ.

아, 사전 조사를 하면서 이 금액과 건물 수를 알비노 호랑이씨에게 말했더니, ‘싸게 싸게 짓네' 라고 평하더군요(...) 역시 신대륙 거주자는 스케일이 달라요. 


그래서 하나 첨부합니다. 신대륙의 대학 건물.


<장난감이 아니라능>





<?!?!??!>



<알록달록 이쁘네요>



MIT의 트레이트 마크. 스타타 센터(Ray and Maria Stata Center)

면적 : 3만 7천 제곱미터(약 1만 1천평)
공사비 :  3억 달러(약 3600억)   

현대 건축의 거장인 프랭크 게리가  설계하고 2004년 완공한 건물입니다.

...... 건물 한 채가 3천 억이 넘네(...)


프랭크 게리는 건물의 정형성을 버리고 툭툭 비져나온, 혹은 구불구불한 모습으로 
건물을 디자인 하는 사람입니다. 건축계의 해체주의(Deconstructivism)를 이끌고 있는 건축가로, 연세대 포스팅에 등장한 알바로 시자처럼 프리츠커상(건축계의 노벨상) 수상자이기도 하지요.


사진을 보시면 알겠지만 건물이 매우 독특한 외관을 지니고 있습니다. 근데 저 외관 때문에 여름에는 비 새고 겨울에는 지붕에서 눈이 쏟아지는 참사가 빈번하게 발생, 그 외에도 여러가지 시설 상 문제가 있어서 완공 후 초기 보수에만 150만 달러를 들이부었습니다. 
짜증이 난 MIT가 프랭크 게리에게 소송을 걸기도 했죠.


하지만 LEED(친환경 건물 인증)를 받은 건물로, 빗물 재활용, 효율적인
냉, 난방 시설 배치 등의 요소가 건물에 녹아들어 있는 건물이기도 합니다.


그럼 오늘은 여기까지 쓸게용.



세줄요약

- 고려대가 10년동안 4300억이나 들여서 심시티를 하고 있다.

- 근데 고대만 그런 건 아니고 다른 대학들도 심시티놀이를 하고 있슴

- 미국 대학은 건물 한 채에 3천 억이란다.



건축시리즈의 다음 글은 '건물에 관한 무언가3. 영등포 백화점 전쟁: 롯데 vs 신세계' 입니다!




  1. 부산대 입구에 있던 비공식 대운동장을 '넉너한 터' 라고 부릅니다. 실제 부산대 대운동장은 학교 정상부에 있기 때문에 정문에 있어 접근성이 편리한 넉넉한 터가 더 자주 이용되었습니다. 2007년 초 부산대 측에서 넉넉한 터를 개발하여 대규모 민간상업시설을 입점시킨다 발표하여 학생들과 언론의 강한 반발과 우려가 있었지요. 결국 개발이 강행되어 지하주차장과 대규모 상업시설이 신축되었습니다. 학교 시설들과 조화를 이루지 못할 정도로 과도하게 큰 상업시설이 학교 정면부의 시야를 가로막아 답답한 느낌을 주고 있습니다. 사진이 보고싶으시면 링크로- http://something4u.tistory.com/8 [본문으로]
Posted by 알 수 없는 사용자


안녕하세요 te verde입니다.  실물은 저런 상큼돋는 닉네임과 상관없이 아저씨입니다, 하지만 그냥 그러려니 하세요(...)



아무튼 '상상 속의 건물'   ‘연세대 신경영관’ 에 대한 이야기를 한 번 해볼까요.







1. ‘상상 속의 00이란 대체 무엇인가...’

고대 중국에선 평화와 번영을 상징하는 여러가지 ‘상상 속의 동물'들을 만들었습니다.

 
사진출처 -다음 문화원형

‘기린' 이라던가


사진출처 -다음 문화원형

‘봉황', 또는




‘용',


그 외에도 ‘붕(鵬)’ ‘천록' 등 많은 상상 속의 동물들이 있지요.

하지만 ‘상상 속의 00’는 과거형이 아닙니다.  - 적어도 2012년 한국에서는요 -

‘상상 속의 건물’ - 연세대 신경영관이 있거든요.






2. 전설의 건물

   연세대 경영대학은 2003년 상경대학에서 경영대학으로 단과대 분리됩니다.
 그 전까지는 상경대학

에 속해있는 하나의 부속 학과였지요.


   연세 경영은 '단과대학으로 분리가 되었으니 건물을 새로 가져야겠다!!!!' 라고 마음을 먹게 됩니다

더 노골적인 원인은 고려대 경영이 2003년 삐까뻔쩍한 '엘지포스코경영관(이하 엘포관)'을 준공해

서 언플질을 하는게 정말 눈꼴시려웠어요.....



                               

디자인부터 돈냄새 나는 고려대 엘포관 


   게다가, 기존에 연세 경영이 사용하고 있던 대우관은 연세 ‘상경대'를 위해서 대우회장 김우중씨가 

지어준 건물입니다. 독자 분들이 연세대에 가셔서 백양로를 쭉 훑어보시면 저- 먼 곳에 보이는 위엄 

돋는 흰색 건물이 보일거에요. 그게 바로 대우관입니다. 


                
대우그룹의 고혈 아 아니... 애정이 들어간 연세대 대우관,
1996년에 이 건물 완공되고서 6년 후, 다들 아시다시피 대우는 공중분해 되지요.


   헌데, 이 대우관이라는 것이..... 실은 교수연구실로 쓰이는 공간을 제외하고 나면 생각보다 

강의공간이 적습니다. 경제학과와 통계학과만이 쓰기에 딱 적당한 수준이에요.


그런데 경영학과까지 같이 있으니...... 이거슨 바로 헬게이트

   IMF 이후 + 08년도 법대 폐지 이후, 취업 잘되고 경쟁상대 없는 경영학과는 많은 대학에서 문과 

원탑을 자연스럽게 차지하게 됩니다.  당연히 경영학과 이중, 복수전공도 넘치게 되었고, 그냥 

강하는 사람도 넘치면서 그야말로 시장바닥......    




결론: 공간이 너무 없어요 공간이. 공간 좁아서 미어터짐 ㅠㅠㅠㅠㅠ

그래서 연대는 결심합니다. 물론 


'ㅅㅂ 고대도 엘포관 짓는데 고대보다 더 나은 우리가 경영관이 없으면 쓰나'


라는 생각도 아주 없진 않죠. 하지만 저런 훌리건스러운 귀여운 생각은 쌩까고서라도, 현실적인 

필요에 의해 건물 신축을 추진하게 됩니다.



근데 건물을 지으려면 뭐가 필요하죠? 사랑? 정의? 열정?   


  

변신만화물 작작 보세요. 돈이랑 땅이에요.

   연대가 뒤에 산을 끼고 있어서 공간이 제법 많은 거 같죠? 근데 그거 그린벨트임...... ㅋ...... ㅠㅠㅠ  

뭐 다른데 지으려면 지으려면 못 지을건 아니죠. 백기 옆 공터도 있고... 아무튼 연세 목공소(...)

부지를 선정합니다.



그리고 경영관을 설계할 건축가를 섭외하는데요...... 깜짝 놀랄만한 인물을 섭외합니다. 


바로 '알바로 시자'

       시자짜응...


   건축계의 노벨상이라 불리는 프리츠커상을 수상한 거장으로, 백색 노출 콘크리트 건물이 그의 

트레이드 마크죠.

우리나라에서 있는 그의 작품으로는 안양예술공원에 '알바로 시자홀'이 있습니다. 

흰색이라는 단색만을 사용하면서도 지루하지 않게, 공간미가 잘 살아나는 설계를 하는 건축가지요.

 다른 건물은 사진 퍼오기 귀찮아서 링크로 대체합니다. 


- 안양의 알바로 시자홀

http://blog.naver.com/e_afca?Redirect=Log&logNo=60111494741



   연세대는 수 억원의 설계비를 주고서 알바로 시자에게 경영관 설계를 맡깁니다. 
설계도는 정말 걸

작이 나왔죠. 전 고딩때 그 설계도를 보고 연세대 경영 가고 싶다고 생각했었을 정도임.....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0971344

                     
아아.. 알바로 시자 짜응...


   근데 문제는 연세 동문들의 모래알 같은 응집력......  예전에는 많은 외국의 교회나 한국 교회에서

연세대를 후원했지만 2000년대부터는 거의 그러지 않죠. 아무짓도 안해도 오던 돈줄은 이제 없기 

때문에 순전히 자신들의 모금 능력으로 500억을 모금해야 하는 상황이 옵니다. 

   물론 명문사학 연세이기 때문에 모으려 하면 못모을건 없지만...... '연세대 송도캠퍼스 추진 + 신중

앙도서관 건립' 까지 맞물리다 보니까 도저히 경영관 신축 자금모집에 집중 할 여건이 안 나옵니다. 



결국 설계만 받고서 5년 동안 삽은 커녕 숟가락도 못 꽂음.


하다하다가 총장이 한번 바뀝니다. (정창영 -> 김한중) 근데 새 총장은...


'목공소 부지는 정문에서 졸라 먼 거 같은데...?' 라는 생각을 하게 되지요, 



- 여기는 연세대 정문입니다.



대우관이.... 아.....안보여..... -연세대 정문에서-



사실이에요. 연세대 정문에서 대우관까지는 약 20분의 시간이 필요합니다. 다음 지도에서

직선보도로 13분이 나오지만 실제로는 오르막 등산길이거든요. 

   
오죽하면 가도가도 대우관에 도착을 안해서 별명이 ‘마법의 성’



   근데 거기서 10분을 더 등산을 해야 목공소임. 아..... 타이핑 하고 있는데 눈물이 나려고 해...


   게다가 마침 목공소 부지에서 중금속(...) 이 검출됩니다. 덕분에 수 억자리 알바로 시자 설계는

대로 날아감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


실은 모금만 빠르게 되었어도 중금속이고 뭐시기고 지었겠지요, 하지만 500억 중 150억 모인 상태

로는 어쩔  수가 없었어요 ㅠㅠㅠ ㅈㅁㅁ...


   연세 경영은 어영부영 멘붕상태로 지내다가 2010년 다시 한 번 일을 추진합니다. 이번에는 본관

쪽의 용재관을 밀어버리고 무슨 변신로봇 같은 타워(...) 형 건물을 짓기로 결정하죠. 

이번에도 역시 목표금액은 500억.


        
알바로 시자 짜응 설계가 그리워지려고 해...... 현재는 약간 수정되서 훨씬 낫긴 합니다


   근데 다시 문제가 생겼스요...  용재관은 50년대 연세대 동문들이 한 푼 두 푼 모금해 세운 

유서깊은 건물이라는거.  학생자치공간도 들어있는 장소이기 때문에 당연히 소속 동아리의 학생들은 

반발을 했습니다. 거기에다 용재관 앞에 있는 진달래덤불은 수 십년 전부터 많은 연세인들의 추억이 

쌓여있는 장소이기도 하지요. 덕분에 뜻하지 않은 돌직구 발생ㄱ-.



   연세대는 서울대와 더불어 전국의 대학 중에서 '학부 순혈주의'가 제일 심한 대학입니다. 전임강사 

이상 교원 중 76%가 연세대 출신이에요, 그러다보니 학교에 대해 찐한 애정과 향수를 가진 교수님

들까지 용재관 철거에 반대하는 사태가 발생함ㅋㅋㅋ ㅠㅠㅠㅠㅠㅠㅠㅠㅠ


그래도 김한중 총장은 이사회에서 최종 승인을 받고, 시공 업체까지 선정을 했습니다. 

이제 진짜 '삽만 뜨면' 되는 상탠데... 그런데........


신임 정갑영 총장이 3월 말에 갑자기 공사 무기한 중단을 선언^^.....



    그리고 정갑영 총장은 멀쩡한 설계를 내버리고 '대우관 증축'을 경영대 측에 제시합니다. 연세 경

영 교수들과 학생들은 어이가 터져나감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ㅠㅠㅠㅠㅠㅠ



결국 연경 교수님들이 이런 비상 홈페이지를 열어서 지지를 호소하기에 이르고, 
http://ysbbuilding.yonsei.ac.kr/



ㅠㅠㅠㅠㅠ 교수님......




3. 조잘조잘

   여기까지가 현재 '연세대 경영관 신축'에 얽힌 이야기입니다. 연세 신경영관 모금 현황은 500억 중 

290억...  동문의 모금 약정을 합쳐도 350억 정도입니다.  남은 150억원이 자체 모금, 또는 재단의 

지원으로 확실해 지지 않는 한, 삽을 뜰 수가 없습니다. 정갑영 총장이 반대하고 있으니까요 

허허허......    연세 경영이라는 간판을 걸고도 2003년부터 2012년까지 모금된 금액이 350억이라는

것을 보면 뭔가 깝깝하기도 하고...  (연경과 비교대상이 되는 고경은 2003년 230억짜리 엘포관을

다 짓고 2010년 부터 440억짜리 경영관을 하나 더 올리고 있지요...)


    하지만 5월 14일 연세춘추 기사를 보니 총장-경영대 측이 원만한 방향으로 합의를 하기로 결정한

것 같군요.  http://chunchu.yonsei.ac.kr/news/articleView.html?idxno=14973 

   저는 아무래도 좋으니 빨리 건물 지어서 실물로 보고 싶어요.  보고 싶어서 현기증 난단 말이에요 

흙흙 ㅠㅠㅠㅠ.......



이상으로 ‘전설속의 연세대 신 경영관’편을 마치겠습니다. 쨖쨖쨕.


세줄요약

-  연세대가 10년 동안 삽질을 해서 신경영관 건물을 못 올리고 있다.
-  겨우겨우 지으려고 하는데 신임 총장이 연경을 디스한다.
 -  난 빨리 실물 보고 싶으니까 얼른 지어요 ㅠ


다음편 보러가기 

건물에 관한 무언가2. 고려대는 공사 중




Posted by 알 수 없는 사용자